ssunw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ssunw

  • 분류 전체보기 (280)
    • Spring Boot (24)
    • kubernetes (36)
    • AWS (149)
      • SAA (139)
      • Basic (6)
    • Jenkins (1)
    • MySQL (2)
    • Linux (23)
    • Docker (16)
    • 네트워크 (5)
    • Ansible, Terraform (19)
    • DataDog (0)
    • SRE (3)
    • Golang (1)
    • istio (0)
  • 홈
  • 태그
  • 방명록
728x90

(3) URI 설계 패턴

URI 란 인터넷에서 특정 자원을 나타내는 주소 값으로 해당 값은 유일하다. ex) 요청(req) : https://www.naver.com/resource/sample/1 응답(res) : na.test.pdf, na.test.docx URL 과 URI 를 헷갈리지 말자, URL 은 URI 의 하위 개념으로 인터넷 상에서의 자원, 특정 파일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식별 하는 주소이며 요청(req) : https://www.naver.com/na.test.pdf 이런식으로 발행된다. URI 설계 원칙 1. 슬래시 구분자(/) 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https://naver.com/na/ja/cur/tes 2. URI 마지막 문자로 (/) 는 포함하지 않는다. https://naver.com/..

  • format_list_bulleted Spring Boot
  • · 2022. 1. 16.
  • textsms
728x90
  • navigate_before
  • 1
  • navigate_next
공지사항
  • LinkedIn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280)
    • Spring Boot (24)
    • kubernetes (36)
    • AWS (149)
      • SAA (139)
      • Basic (6)
    • Jenkins (1)
    • MySQL (2)
    • Linux (23)
    • Docker (16)
    • 네트워크 (5)
    • Ansible, Terraform (19)
    • DataDog (0)
    • SRE (3)
    • Golang (1)
    • istio (0)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EC2
  • #ELB
  • #RDS
  • #객체지향설계
  • #ASG
  • #solid
  • #Linux
  • #AWS
  • #Spring Boot
  • #spring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250x250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