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CNAME vs Alias CNAME 과 별칭 레코드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자. AWS 의 리소스(로드 밸런서, CloudFront...)를 사용하는 경우에 호스트 이름이 노출된다. 보유한 도메인에 호스트 이름을 맵핑할 수 있다. 즉, myapp.example.com 을 로드 밸런서에 맵핑하는 것. CNAME : 호스트 이름이 다른 호스트 이름으로 라우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example.com 도메인이 test.anything.com 으로 향할 수 있다. 루트 도메인 이름이 아닌 경우에만 가능해서 example.com 앞에 뭔가가 붙어있어야 한다. 여기서는 app 이 붙어있다. 즉, example.com 은 CNAME 레코드를 사용하지 못한다. Alias : 호스트 이름이 특정 AWS 리소..
Records TTL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myapp.example.com 도메인 명에 대해 Amazon Route 53 으로 쿼리를 보내면 DNS 로부터 응답을 받게 된다. 응답 내용으로는 A 레코드, 123.456.789.123 이라는 IP 주소, TTL 300 을 받았다. TTL 300 의 뜻은 300초 동안 해당 쿼리를 DNS 에서 기억하겠다는 뜻이다. 즉, 캐싱하겠다는 뜻. 즉, 해당 클라이언트 같은 호스트 명으로 DNS 에 또 다시 쿼리를 보내지 않아도 300초 동안은 해당 호스트 명의 IP 주소를 기억하고 있어서 바로 이동할 수 있다는 뜻이다. DNS 서버는 DNS 요청 쿼리를 자주 받는 상황을 원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레코드(www, api, test, dev...)는 자주 바뀌지 않기..
Amazon Route 53 개요 Route53 은 고가용성, 확장성을 갖추고 사용자들이 DNS 레코드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즉, DNS 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예시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있고 클라이언트가 EC2 인스턴스 example.com 에 접근하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EC2 인스턴스에는 public IP, 54.22.33.44 만 있는 상태이다. 클라이언트가 example.com 에 접근을 하면 DNS 레코드를 아마존 Route 53의 호스팅 존에 write 하려고 한다. 그러면 Route53 에서 IP 54.22.33.44 를 찾는 중이라고 응답한다. 클라이언트는 바로 EC2 인스턴스에 접근을 하고 Route 53 은 Domain Registrar 이기 때문에..
DNS 개요 DNS 는 Domain Name System 으로 호스트 네임을 IP 주소로 번역해주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 www.google.com 을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 명을 해석하여 172.217.18.36(예시) 라는 IP 주소를 준다. DNS 는 인터넷의 중추로 URL 과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친구다. DNS 에는 계층적 이름 구조를 갖는다. www.google.com 의 루트는 .com 이 있고, 좀 더 정확하게 example.com 이 있다. 그리고 www.example.com 다시 나열해 보자면 .com google.com wwww.google.com 위 처럼 3가지 계층으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다. DNS 용어 Domain Registrar : Amaz..
구성도 Route 53 에 도메인 등록 Route 53 호스팅 영역을 클릭 호스팅 영역 생성 버튼 클릭 도메인 판매 사이트(가비아 등..)에서 도메인 구매 후 도메인 이름을 작성한다. 나는 seongwoo.shop 도메인을 구매하였다. 아래 그림처럼 호스팅 영역이 생성된다. 참고로 버플릭 호스팅 영역과 프라이빗 호스팅 영역의 차이는 쉽게 말해서 인터넷과 통신을 할 수 있냐 없냐의 차이(VPC 망 내부인지 외부인지 차이 정도..?) 로 생각하면 된다. 가비아에 도메인 관리 들어가서 생성된 NS 레코드 타입의 value 들을 적어준다. 원래라면 NS, SOA 유형의 레코드 이름만 보일 것이다. 여기서 CNAME 유형의 레코드들은 안보이는 것이 정상이다. AWS Certificated Manager 에서 SS..
CloudFront 를 사용하여 CDN 서비스 사용하기 현재 Amazon S3 서비스를 사용하여 버지니아 리전에 정적 웹사이트를 호스팅 중이다. 한국에서 웹사이트에 접근하면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CDN 을 사용하여 속도를 높이고 싶다. 이 때 사용하는 서비스가 CloudFront 이다. 원본 도메인에는 어떤 리소스를 CDN 서비스로 사용할 것인지 세팅한다. 여기서는 Amazon S3 버킷을 CDN 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버킷에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그 디렉토리 안에 객체를 생성했다면 원본 경로에 해당 디렉토리 명을 작성해야 한다. 그 아래로는 캐시 동작 방법을 설정하거나 캐시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엣지 로케이션(CDN 서버)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 SSL 인증서를 붙인다거나, HTTP 버전, 로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