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Auto Scaling Group ASG 에는 증가되는 트래픽 양에 따라 인스턴스를 증가시키는 스케일 아웃 작업과 트래픽 양이 줄어듦에 따라 인스턴스를 감소시키는 스케일 인 작업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갯수만큼만 스케일 아웃시키거나 스케일 인 하여 인스턴스의 최대 최소 갯수를 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전까지 했던 작업들과 다르게 새 인스턴스를 로드 밸런서에 자동으로 등록할 수 있는 기능도 있다. Minimum size : 오토 스케일링 그룹에서 꼭 실행되야 하는 인스턴스 갯수로, 최소 크기를 나타낸다. Actual Size / Desired Capacity : ASG 에서 현재 실행 중인 인스턴스 갯수를 나타낸다. Maximum size : 부하가 심해진 경우에 스케일 아웃을 통해 추가될 ..
EFS vs EBS EBS EBS 볼륨은 오직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연결될 수 있고 특정 가용 영역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gp2 : 볼륨의 크기가 커지면 IO 도 커진다. io1 : 볼륨의 크기와 상관없이 IO 를 키울 수 있다. EBS 볼륨을 다른 가용 영역으로 옮기고(마이그레이션) 싶다면 스냅샷을 사용해서 옮겨야 한다. 스냅샷을 찍고, 해당 스냅샷을 이용해서 옮기고 싶은 가용 영역으로 설정한 뒤에 볼륨을 생성한다. EBS 의 스냅샷을 찍고, 재구성하는 동안은 해당 볼륨이 사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EBS 루트 볼륨은 기본적으로 EC2 인스턴스가 종료될 때 자동으로 종료된다. 옵션을 통해 인스턴스가 종료되도 볼륨은 유지되도록 설정을 바꿀 수 있다. EFS 여러 가용 영역에 있는 인스턴스가 동시에 접속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